In the development of biopharmaceuticals, mostly based on large proteins, viruses, and cells, conventional approaches normally involve intuitive modifications of only a part or component of the complex bio-entities. These fragmented approaches have often shown critical limitations as exemplified by unexpected serious side effects of the conventionally developed biopharmaceutical products.
Instead, we newly apply systems-level genetic and genomic design-based strategies to create and develop various biopharmaceuticals much more effectively. We see the development of complex bio-entities based biopharmaceuticals as intelligent connections of their constituent parts or component biomolecules.
Our approaches involve the selection of useful components from biomolecules and genetic parts existing in nature and generation of artificial ones from the screening of genetic libraries. We also employ computational genetic and genomic models to design the optimized connections of the components for certain therapeutic purposes. The model-based design strategies will facilitate and accelerate the development of highly potent biopharmaceuticals to treat various diseases.
Bio Design Lab (BDL) aims to develop gene, cell, immuno-therapies. Lack of efficient and safe vectors has hampered the development of the next-generation therapies. We are currently focusing on advancing retroviral and lentiviral vectors in terms of transduction efficiency and safety. By applying various genetic engineering approaches, we have been able to greatly enhance the transduction efficiency and reduce tumorigenicity of the key viral vectors up to multiple folds. In addition, BDL develops various additional genetic platforms to fuel the advances in gene-, cell-, immune-therapies.
서울시 용산구 청파동의 청파새마을금고 빌딩에 지하1층 사무실과 2층 기업부설연구소와 같이해서 총 250평규모의 서울 사무소를 개소하였다.
2020년12월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 와 한국투자파트너스 Series- 에이티넘성장투자조합을 통해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는 투자를 하였고, 한국투자파트너스는 바이오 글로벌 펀드와 SEA-CHINA Fund를 통해서 투자를 같이하였고 총 50억의 투자를 유치하였다.
'신한 스퀘어브릿지 인천' 가보니…1기 34개사 입주시작, 셀트리온·머스크 등 멘토 참여
대지면적 3만㎡ 규모의 넓은 공간에 미래 구글·아마존을 꿈꾸는 벤처기업들의 ‘메카’가 조성됐다. 인천 송도국제도시의 골칫거리였던 옛 교통환승센터 부지가 ‘인천스타트업파크’로 재개장한 것. 이곳은 스타트업이 입주하는 스타트업타워 1·2동과 상업시설인 힐링타워로 구성됐는데 이중 지난달부터 스타트업이 입주하기 시작한 인천스타트업파크 2동을 찾아갔다.
건물로 들어서면 오픈형으로 설계된 각 기업의 사무공간과 건물 중앙에 배치된 넓은 협업공간이 눈에 들어온다. 각 기업이 교류할 수 있는 핫데스크나 외부 방문자와 미팅을 진행할 수 있는 화상회의실뿐 아니라 휴식을 위한 수면실, 오픈키친, 휴게라운지까지 드라마 ‘스타트업’ 속 세트장이 현실로 구현된 느낌이다. 지난달부터 20여개사가 차례로 입주하면서 기업별로 배정된 사무실은 60% 이상 채워졌다. 다만 코로나19(COVID-19)로 외부 방문객은 많지 않았다.
1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중소벤처기업부, 인천시, 신한금융그룹 등이 조성한 인천스타트업파크에는 이달 말까지 70여개 스타트업이 입주할 예정이다. 1동에는 인천경제청이 선발한 스타트업 40개사가 이달 말까지 입주하고 2동에는 신한금융그룹이 선발한 신한 스퀘어브릿지(S² Bridge : 인천) 1기 멤버십 84개사 중 입주를 희망한 34개 기업이 입주할 예정이다.
이중 인천 스타트업 파크 2동에는 신한금융그룹이 선발한 신한 스퀘어브릿지 인천 1기 멤버십 84개사 중 입주를 희망한 34개 기업이 입주할 예정이다. 인천 스타트업 파크 1동에는 인천경제청이 선발한 스타트업 40개사가 이달 말까지 입주할 계획이다.
신한 스퀘어브릿지 인천은 장소명이기도 하지만 신한금융의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명이기도 하다. 신한금융은 이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스타트업을 위해 올해 100억원, 3년간 최대 500억원 규모의 전용펀드를 조성할 예정이다.
신한 스퀘어브릿지 인천 운영을 맡은 이지선 인천스타트업파크 총괄디렉터는 “인천 송도라는 지리적 환경에 맞게 국내외 글로벌 액셀러레이터 10개사를 선정해 멘토링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라며 “미국·아시아·유럽 등 각 기업의 진출 희망시장에 맞춰 지원을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포스공과대학 기술지주로부터 시드투자 3억을 유치를 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20년 5월 TIPS사업 수주하여 진행하고 있다.